INTER-KOREA RAIL
|
남북협력 철도 프로젝트
|
WONSANHometown of Kim Jung Un, Wonsan receives the most international attention amongst all cities since 2014 when the Wonsan – Mt. Kumkang International Tourist Zone was announced. Home to around 400,000 people, the city is the locus of the most recent developments in the province.
Wonsan Key Facilities
Wonsan Upcoming Facilities
|
원산김정은의 고향으로, 원산은 특히 2014년 원산-금강 관광구역이 발표된 이후 관심을 가장 많이 끌고 있는 도시이다. 인구는 400,000명으로 강원도 내에 가장 최신 개발 프로젝트가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원산에 위치한 주요 시설
다가오는 시설
|
TONGCHONSitting in between the two major coastal cities Wonsan and Kumkang, Tongchon serves as the midway city of the east coast. While being a relatively smaller city, Tongchon’s facilities are nevertheless significant for the travel between Wonsan and Kumkang.
Tongchon Key Facilities
Tongchon Upcoming Facilities
|
통천동해안의 가장 중요한 도시인 원산과 금강산 중간에 위치한 통천은 동해안의 중간지점 도시로 사용되고 있다. 비교적 작은 도시이지만통천의 시설들은 금강산과 원산간의 여행에 매우 큰 역할을 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통천의 주요 시설들
계획된 개발 사업들 예시
|
MT KUMKANGOnce the receiver of South Korean tourists as well as investment, the Mt. Kumkang region hosts foreign tourists every year. North Korea has plans to revamp the city’s tourist facilities following the announcement of the Wonsan-Kumkang International Tourist Zone as well as the Panmunjom Declaration which promised the re-introduction of South Korean tourists to Mt. Kumkang.
Kumkang Upcoming Facilities
|
금강산예전 한국로 부터 관광객과 투자를 받은 금강산 지역은 아직까지도 매년 관광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북한으로 한국 관광객들을 보낼 수있는 가능성을 재기한 원산-금강 국제 관광 지역 발표와 판문점 선언 이후로 북한은 금강산 지역의 관광 시설들을 개조할 계획을 발표했다.
금강산 다가오는 시설
|
CONNECTIVITY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cities in inner Kangwon is its connectivity. The availability of the Kangwon Line allows for transport to major cities like Wonsan and Munchon while the Chyeongnyon Inchon Line offers direct connectivity to the capital, Pyongyang. While these cities do not currently retain sufficient infrastructure for tourists,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inner Kangwon is still worth exploring as South Korea is open to connecting the Kangwon Line with the railroads in the South.
Potential Areas for Development
|
연결성
강원도 내륙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강원도 내에 연결된 철도 및 도로다. 강원선을 통해 중요 도시인 원산과 문천으로 이동 및 수송 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청년이천선은 북한의 수도인 평양과 연결되어있다. 강원도 내륙에 있는 도시들은 아직까지 관광객들을 받을 충분한 인프라가 개설되있지 않지만 한국이 강원선을 한국의 경원선과 연결을 할 의도를 보인 상태에서 강원도 내륙 지역의 개발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도 강원도 전체를 위한 중요한 일이다.
개발 가능 지역
|